우리는 우리와 다른 종인 강아지의 오감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사실 애초에 우리가 인간으로서 우리 자신의 오감을 제대로 느끼고 있는지도 솔직히 잘 모르겠어요.

우리는 어떤 신체 반응이 일어날 때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더라도 병원 등에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죠. 하지만 강아지의 의사 표현은 우리가 정확하게 이해하는 경우가 많지 않잖아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고 해도, 아무것도 모르는 채로 무작정 기다리는 상황은 그야말로 공포 그 자체고요.

꼭 이런 심각한 예시로 흐르지 않더라도, 그냥 우리 개에 관해서라면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알고 싶으니까. 그래서 강아지는 보통 세상을 어떻게 (사람과 다르게) 느낄까. 고찰해 보는 시간을 가져 봅니다. 그래 봤자 제가 동물 관련이나 의학, 심리학 전문가도 아니고 그냥 책을 참고하는 얄팍한 수준이니까 재미로 봐 주세요!

미국 철학자 토머스 네이글은 ‘What Is It Like to Be a Bat(박쥐로 산다는 것)’이라고 이름 붙인 아티클을 통해 뇌과학(Neuroscience)을 통해서는 결코 박쥐의 감각을 설명할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어요. 박쥐의 뇌에는 박쥐가 어떻게 하늘을 나는지에 관한 정보도 들어 있지 않다고 했죠. 그런데 그 이유는 바로, 애초에 이 학문이 인간의 뇌를 연구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고, 철저히 실험 주체인 인간 관점으로 실험 객체 박쥐를 볼 수밖에 없고 그렇게 해서는 박쥐를 제대로 알 수 없다는 거예요.

사실 강아지도 비슷하죠. 우리는 인간 입장에서, 철저히 인간 필터를 끼고 강아지를 볼 수밖에 없어요. 우리가 인간이라는 사실은 바꿀 수 없으니까요. 인류의 미래를 풍자적으로 그린 드라마 〈이어즈&이어즈〉 속 설정처럼, 시술 같은 걸 받아서 자신이 인간이 아닌 존재(이를테면 강아지)가 됐다고 주장하는 트랜스휴먼이 등장한다고 해도, 이들의 출발점이 인간이라는 사실은 변할 수 없다고 봅니다.

드디어 이번 주제인 강아지 후각에 관해 이야기할 차례예요. 강아지의 후각이 이러이러할 것이다, 하는 데이터는 인간의 후각과 비교해 추산한 것이니 이 인간 필터를 적당히 참고해 알아 두면 좋습니다.

사람의 시각과 의존도가 비슷한 감각이 강아지에게는 후각이 아닐까 해요. 특히 사회적 활동과 깊은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그렇죠. 사람의 여러 사회 활동이 시각을 중심으로 이뤄지듯, 개들의 사회 활동은 후각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편이고, 중요 정보는 코로 습득하는 경우가 많죠.

우리가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강아지의 건강 지표 중 하나도 바로 강아지의 코입니다. 촉촉하게 윤기가 감도는 강아지의 건강한 코를 보면 어쩐지 기분이 더 좋아지지 않나요?

이렇듯 평소 가장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기관이 코이다 보니, 평소 놀이나 훈련에서도 후각을 활용한 장난감을 활용해 주면 좋습니다. 이때 시각 등 다른 기타 자극을 최대한 차단하는 단조로운 색상의 도구를 이용하면 강아지가 후각에 완전히 집중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된답니다.

또한 인간이 섬유유연제나 향수 등 인간 본연의 체취를 가려 주는 냄새를 쾌적하게 느끼는 것과 달리, 개들은 자연의 냄새(?)를 매우 선호한답니다. 체취가 진할수록 상대의 정보를 파악하기에도 더 좋은 게 아닐까요? 또, 고유한 냄새로 가족을 알아보기도 해요.

여러분의 반려견은 여러분을 어떤 냄새로 기억할지 궁금하다면 화면 상단 【팔로우】를 누르시오😉

참고도서: What It’s Like to Be a Dog by Gregory Berns